본문 바로가기

선택자

jQuery(탐색 선택자 1) 안녕하세요 19살 IT 개발자 포돌이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jQuery(인접 관계 선택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jQuery(탐색 선택자 1)을 나가려고 합니다. 자 그러면 시작해보겠습니다. 제이쿼리 탐색 선택자 탐색 선택자 탐색 선택자를 사용하면 기본 선택자로 선택한 요소 중 원하는 요소를 한 번 더 탐색해서 좀 더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탐색 선택자에는 배열의 인덱스(index)를 사용해 선택하는 "위치 탐색 선택자"와 배열에 담겨진 요소중 지정된 속성과 값으로 선택하는 "속성 탐색 선택자"가 있습니다 위치 탐색 선택자 기본 선택자로 선택한 요소는 배열에 담깁니다. 이때 배열의 인덱스를 사용하면 특정 요소를 좀 더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first/last 선택자 f.. 더보기
jQuery(인접 관계 선택자) 안녕하세요 19살 IT 개발자 포돌이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jQuery(직접 선택자)의 직접 선택자를 공부했었는데요 오늘은 인접 관계 선택자를 한번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한번 들어가시죠~ 인접 관계 선택자 jQuery(선택자 1)에도 있지만 한번 더 복습하는 겸 다시 올렸습니다. 차례대로 기본형과 예제를 적으며 나아가도록 하겠습니다. 부모 요소 선택자 부모 요소 선택자는 선택한 요소를 감싸고 있는 부모 요소를 선택합니다. 기본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형 $("요소 선택").parent(); 코딩해보기 다음은 문단 태그 영역의 부모 요소 선택자를 적용한 예제입니다. 하위 요소 선택자 하위 요소 선택자는 선택한 요소로 선택한 하위 요소만 선택합니다. 기본형 $("기준 요소 선택 1 요소 선택 2") .. 더보기
jQuery(직접 선택자) 안녕하세요 19살 IT 개발자 포돌이라고 합니다. 지난번에는 jQuery에 대해 간단한 설명과 다운로드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jQuery(직접 선택자)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 설명할 때는 jQuery와 제이쿼리 두 가지 방식으로 표기하겠습니다. 선택자 선택자는 HTML 요소를 선택하여 가져옵니다. 제이쿼리 선택자는 CSS 선택자와 마찬가지로 선택한 요소의 디자인 속성을 적용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HTML에서 작성한 스타일(CSS)은 '정적이다'라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제이쿼리 선택자를 사용하면 "동적"으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선택자를 좀 더 정확하고 깊이있게 공부하려면 문서 객체 모델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겁니다~^^ 문서 객체 모델(D.. 더보기